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0

경제 소식 : 5월 26일 기준금리 인상 제로금리, 초저금리 시대가 막을 내리고 26일 15년 만에 두 달 연속 금리를 상승시키면서 1.5% → 1.75% 기준금리가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연말 기준 2.5% 까지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는데 기준금리와 경제 영향에 대한 내용을 소개드리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경제 상식: 금리인상을 해야 하는 이유 최근 가장 핫한 키워드 바로 '금리인상', '인플레이션' 2가지입니다. 코로나19 시대 동안 전 세계적으로 너무 많은 돈을 시중에 풀었고, 자금이 풀리면서 화폐의 가치는 하락하고 부동산/주식/비트코인이 폭등하게 됩니다. '아니?! 무슨 소리야 돈을 풀었다니?'라고 생각하시는 분들 계셔서 잠깐 설명드리면, 코로나 시대에 자영업, 기업들의 대출이자를 줄이기 위한 제로금리(금리가 낮기 때문에 돈을 빌려도 이자부.. 2022. 5. 26.
파이프 라인 : 미환급금 돌려받기(지방세,국민연금,건강보험,통신비) 월급이 나오면 가장 먼저 하는 생각 '어후 왜 이렇게 많이 떼가지' 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 그리고 우리가 사용하는 통신비, 방송 요금, 지방세 등 납부금액 종류도 많고 금액도 참 많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아니 연금, 보험 지방세 등 세금 세금 세금을 이렇게 떼 가는데 그것도 그 작업을 사람이 하는데 착오가 발생하거나 나한테 돌려줄 건 없나?'라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그래서 미환급금, 통신비 돌려받는 방법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년에 한 번 3분 투자해서 정부에서 돈 돌려받기!! 주인이 없어 정부가 보관하는 돈, 미환급금 미환급금은 왜 발생하는 걸까요? 실수로 이중납부가 되는 경우도 있고 금액의 착오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을 겁니다. 내가 이사를 가게 되었는데 지방세를 중복으로 입금을 했.. 2022. 5. 22.
경제 용어: 넛크래커(Nutcracker), 중국과 일본에 눌린 한국 1997년 한국은 '넛크래커' 국가였지만, 2021년 한국은 '역 넛크래커' 국가라고 합니다. 넛? 크래커? 뭐지 궁금해서 왜 한국이 넛크래커인지, 역 넛크래커는 무슨 의미가 있는지 찾아봤습니다. 경제 용어: 넛크래커(Nutcracker)의 뜻? '넛크래커'는 원래 호두를 양쪽에서 눌러서 까는 기계를 말합니다. 경제용어에서 넛크래커는 선진국에게는 상품의 품질이나 기술력 경쟁에서 밀리고, 후발 개발도상국에는 상품의 가격이나 인건비가 밀려서 선진국과 후발 개발도상국 사이에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는 국가의 모습을 넛크래커라고 합니다. 마치 넛크래커 사이에 끼인 호두 같은 모습을 비유한 용어입니다. 제품의 기술력과 품질은 선진국을 따라갈 수가 없고, 가격을 후발 개발도상국처럼 낮추자니, 기업의 인건비가 .. 2022. 5. 21.
파이프 라인 : 누구나 바로 가능한 꿀 부업 소개 2만 원으로 치킨도 마음껏 못 먹는 세상, 치솟는 물가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게 되는 게 무엇일까요? 바로 부업 아닐까요? 쇼핑몰, 주식, 비트코인, 블로그, 전자책, 파이프 라인 등 바야흐로 부업의 시대입니다. 하지만 주식, 비트코인을 하기에는 손실이 발생할까 겁이 나고, 전자책, 블로그를 하자니 글 쓰는 건 자신 없고, 쇼피, 스토어팜, 해외구매대행을 하자니 도저히 모르겠어, 하시는 분들을 위해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꿀 부업 몇 개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파이프 라인 : 부업의 종류 2가지 부업의 종류에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시간과 돈을 바꿔서 수익을 내는 방법!!' 모든 육체적으로 하는 부업이 해당됩니다. 이 방법의 장점은 일단 부업이 끝나면 당장 나에게 수익이 생긴다는 것입니.. 2022. 5.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