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0

경제 소식 :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CPI) 최대폭 증가(6월 10일) 6월 10일 금요일 나스닥 지수가 3.52% 하락하며 장을 마감했고, 주말 비트코인이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무슨 이유가 있어서 주식과 비트코인이 크게 하락했을까요? 바로 미국의 소비자 물가지수(CPI)가 발표가 됐습니다. 미국의 소비자 물가지수가 도대체 무엇이길래 주식과 비트코인 전반에 걸쳐 하락장을 유도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경제 용어 :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CPI)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흔히 CPI라고 하는 것은 'Consumer Price Index'의 약자로 단어 뜻 그대로 '소비자 물가 지수'를 뜻합니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라는 것은 미국 전역에 걸쳐 모든 소모품, 서비스 시장에 대해서 소비자가 지불하는 가격의 평균 변화를 측정하고 지표 화한 수치입니다. 소비자 물가지수가 상승한다는 .. 2022. 6. 12.
경제 소식 : 6월 9일 네 마녀의 날(Quadruple witching day) 주식을 하는 사람이라면 6월 9일(목요일) 주식 시장의 큰 변동성에 혼란스러운 하루가 되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도대체 오늘이 무슨 날이길래 뉴스에서 변동성 관련 뉴스가 많이 나오는 걸까? 하고 봤더니, 6월 둘째 주 목요일 바로 '네 마녀의 날'이라고 합니다. 도대체 '네 마녀의 날'이 무엇이길래 내 주식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경제 용어 : 네 마녀의 날의 뜻과 유래 '네 마녀의 날' 의 뜻은 주식 시장에서 네 가지 파생상품의 만기일이 동시에 겹치는 날을 네 마녀의 날이라고 합니다. 그럼 도대체 네 마녀가 무엇일까요? 바로 주가지수 선물, 주가지수 옵션, 개별주식 선물, 개별주식 옵션 이렇게 네 가지 파생상품 각 한 개의 마녀라고 해서 네 가지 파생상품이 동시에 만기가 되는 날을 '네 마녀의.. 2022. 6. 9.
경제 용어 : 대한민국 지수 코스피, 코스닥 주변을 돌아보면 가장 많이 하는 재테크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이 주식입니다. 부동산을 하기에는 자본이 부담스럽고, 비트코인을 하기에는 너무 위험요소가 높다고 생각해서 선호하는 것이 주식입니다. 주식 관련 기사나 방송을 보면 자주 등장하는 용어가 코스피, 코스닥, 다우존스, SP 500입니다. 이중에서도 우리나라의 시장 코스피와 코스닥을 포스팅하겠습니다. 경제 용어 : 대한민국 대표 주가지수 코스피 우리나라 대표 주가지수 코스피는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의 약어로 한국 종합주가지수라는 뜻입니다. 우리나라의 가장 대표적인 1 시장의 주가지수입니다. 코스피 시장에 상장되기 위해서는 상장요건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요건으로 규모요건, 분산요건, 경영성과 요건, .. 2022. 6. 6.
경제 용어 : 차이나프리카, 팍스 시니카 미국과 중국, 영원한 부동의 1위 미국이 일인자 자리를 계속 지켜나갈 수 있을까요? 떠오르는 강국 중국이 일인자 자리를 탈환할 수 있을까요? 2018년 미국과 중국의 본격적인 무역전쟁을 시작으로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당시 중국이 러시아를 지원할 경우 강력하게 대응하겠다는 미국의 입장표명으로, '3차 세계대전이 발생하는 건 아닌지, 무역전쟁에 이어서 패권 싸움이 시작되었다'는 말도 나오고 있습니다. 오늘은 일인자가 되기 위한 중국과 관련된 경제 용어를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경제 용어 : 차이나프리카 '프랑사프리카'라는 단어를 들어보신 적 있나요? 제국주의 시대에 프랑스가 아프리카를 지배할 때, 아프리카에 대한 프랑스의 영향력이 너무 큰 모습을 보고 프랑스와 아프리카를 합성해서 '프랑사프리카'라는 말.. 2022. 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