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50 경제 소식 : 8월 한국 금통위, 금리예상 방향은? 8월 5일 미국의 고용지표가 발표되고, 8월 10일 미국의 소비자 물가지수가 발표되었습니다. 경제에 관심이 있는 사람도, 경제에 관심이 없는 사람도 주목하고 있는 발표가 한 가지 있습니다. 바로, 대한민국의 금리인상 한국 금통위(금융통화위원회)입니다. 8월 25일 금통위에서 금리인상을 몇 % 인상할지에 모든 사람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했습니다. 미국, 한국의 금리인상 시기는? 8월 금통위를 시작으로 미국과 한국의 금리인상(또는 인하) 시기를 먼저 확인해 보려고 합니다. 한국과 미국은 올해 3번의 금리 인상/인하 결정을 남겨두고 있습니다. [한국 : 8월 25일, 10월 12일, 11월 24일 / 미국 : 9월 20일~21일, 11월 1일~2일, 12월 13일~14.. 2022. 8. 16. 경제 소식 : 8월 금통위 (미국 CPI 발표, 9월 예상 금리인상) 한동안 출장과 업무에 시달리다 보니 한 달 가까이 글을 작성하지 못했습니다. 그사이 정말 많은 일들이 있었습니다. 미국의 2회 연속 자이언트 스텝 진행과, 7월 한국은행 최초로 빅 스텝을 강행했습니다. 최근 뉴스를 보면 여기저기서 이제 더 이상 공격적인 금리 인상을 하기는 힘들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했습니다. 미국 7월 고용지표 발표 ; 실업률 3.5% 미국 연준이 금리인상을 고려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바로 소비자물가지수와 고용지표입니다. 연준이 금리를 인상하고 인하하는 목적이 무엇일까요? 바로 연준의 책무가 물가 안정과 고용 확대이기 때문입니다. 이것과 관련된 지표가 소비자물가지수와 고용지표입니다. 6월 소비자 물가지수(CPI)가 41년.. 2022. 8. 8. 경제 소식 : 7월 소식지(한국 금통위, FOMC, 미국 CPI 발표) 요즘 매일 들려오는 금리인상, 인플레이션, 경기침체, 스테그플레이션, 코스피 폭락 등 투자자 입장에서는 힘들고 걱정되는 소식들만 발표되는 것 같아요. '아니 도대체 무슨 지표들이 이렇게 많고, 무슨 영향을 주길래 이렇게 연일 떠들지'라고 생각해서 7월 일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7월 8일 미국 고용지표 발표 (ADP 전미 고용보고서 발표) 7월 가장 먼저 발표된 지표로 미국 고용지표 발표가 있었습니다. 미국 고용지표 발표는 ADP(Automatic Data Processing)라고 하는 연구소에서 매월 발간하는 민간부문 고용 관련 보고서입니다. 미국에 있는 40만 개의 사업체에서 발생하는 고용의 월 변화량을 측정한 척도입니다. 즉, 쉽게 말하면 미국의 구직자 수가 얼마나 증가/감소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입니.. 2022. 7. 12. 경제 용어 : 돈의 흐름 (유동성, Liquidity) '시장에 유동성이 과하게 풀려있다', '유동성 버블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 '유동성 위기, 암호화폐 거래소 재개 불가능' 등 최근 뉴스에 유독 유동성이라는 단어를 언급을 많이 하고 있어서, 유동성이 무엇이고 관련된 용어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돈의 흐름, 유동성이란 무엇일까? 유동성이라는 단어의 한자를 그대로 풀이하면 '액체와 같이 흘러 움직이는 성질'이라는 뜻이고, 경제 용어에서 유동성은 '자산을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정도(수준)'을 뜻합니다. 기업이나 단체, 개인들이 투자를 하거나 투자한 금액을 회수할 때 곧바로 현금을 전환할 수 있는지를 말하는 것입니다. 나라에서 금리를 낮추고, 저금리를 유지하면서 기업과 개인에게 돈을 빌려주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긍정적인 유동성을 기대하고 .. 2022. 7. 4. 이전 1 ··· 3 4 5 6 7 8 9 ··· 13 다음